CS/Newwork

네트워크 : 1. 개념과 분류

OSP 2024. 12. 17. 17:59

1. 개념과 분류


1.1. 네트워크란

1.1.1. 개념

  • net(그물)+work. 그물처럼 얽힌 통신 형태의 추상적인 표현이다. "통신 인프라"로 대체해도 얼추 말이 맞는다.
  • 좀 더 구체적으로는 두 개 이상의 기기들이(노드) 서로 연결되어 통신하는 형태, 또는 그러한 인프라 등을 가리킨다. 네트워크라는 단어는 구체적 차원부터 추상적 차원까지 굉장히 넓은 의미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이 단어만으로는 알 수 있는 정보가 빈약하고, 문맥 속에서 이해되어야 알 수 있다.

1.1.2. 필요성

  • 네트워크 연결이 워낙 간편한 요즘은 역설적으로 그 중요성에 대해 절하할 염려도 있다. 이는 성숙한 인프라 기술들이 공통적으로 겪는 문제인데, 잘하면 당연한 거고 못하면 욕 먹는다. 반백년전까지 우물퍼서 먹던 사람들이말이야 
  • 네트워크 기술의 기원은 군사기술이었고, 이후에 상용화 되어서도 인프라라기 보다는 부가가치 산업이었다. 그러나 네트워크 산업/기술이 원숙하면서 우리는 네트워크 없이는 살 수 없는 몸이 되어버린 것이다. 그리하여 근래에 와서는 상수도시설/가스시설/전기시설처럼 그것이 없는 생활을 상정해야 중요성을 잠깐 깨닫고 금세 잊어버리는, 당연한 인프라로 여겨진다. 당연한 것을 박탈당했을 때 상실감이 큰 것처럼, 인프라는 당연한 만큼 중요하다.
  • 그럼에도 인프라 사업이 성숙하게 되면 산업 초기의 임금 테이블이 신규 기술자들의 임금테이블에 영향을 미쳐 임금상승이 억제되고, 또한 산업 자체가 더이상의 판매처가 없어 성장이 불투명해지는 관계로 정작 기술자들에게 인프라 사업은 지양되는 구직처가 되고는 한다.

 


1.2 네트워크 분류

 


1.2.1. 통신 매질에 따른 분류

  •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 매질으로 구분한다.
  • 전송속도와 신뢰성 등 기술적인 분석에 유리하다.
분류 내용
유선(Wired Network) 물리적인 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방식. 이더넷(Ethernet/ether) 네트워크가 대표적이다.
구리선과 광섬유케이블이 있는데, 광섬유케이블이 비싸고 빠르다. 우리나라 가정집 컴퓨터에 연결된 랜선 끝단을 보면 백색광을 확인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 인터넷이 빠른 이유이다. 다른 나라는 인터넷 서비스 업체에서나 쓰던 걸 예전부터 집에서 썼거든. 
무선(Wireless Network) 물리적인 케이블 없이 전파를 통해 연결되는 방식. Bluetooth, Wifi가 대표적이다

1.2.2. 통신 범위에 따른 분류

  • 지리적 영역이나 소속 노드의 수로 구분한다.
  • 기술적인 분석을 위한 분류의 의미는 약하고, 산업구조분할의 색채가 짙다.
  • 관할하는 영역/노드에 따라 점점 케이블이 두꺼워지고 대역폭이 넓어진다.
분류 내용
PAN(Personal Area Network) 개인의 작업공간 단위에서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blutetooth, NFC결제 등이 대표적이다.
LAN(Local Area Network) 사무실이나 건물 단위에서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wifi, LAN선(ethernet) 연결 등이 대표적이다.
LAN에 사용되는 케이블은 다 아는 그것이다.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도시나 캠퍼스 단위에서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MAN에 사용되는 케이블은 대략 한 뼘이 안 되는 지름을 갖는다.
WAN(Wide Area Network) 국가나 대륙 단위에서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국가간 통신을 매개하는 해저케이블이 대표적이다.
WAN에 사용되는 케이블은 자(ruler)정도의 지름을 갖는다.

우리나라의 해저케이블맵. (https://www.submarinecablemap.com)


1.2.3. 연결 형태에 따른 분류

  • 노드와 노드가 연결된 형태로 구분한다.
  • 네트워크 확장성과 유지보수성 등 기술적인 분석에 유리하다.
분류 내용
point to point 두 장치간의 연결
multi-access 여러 장치간의 연결
  star 네트워크의 모든 단말이 하나의 중심기기에 연결된 형태
*흔히 LAN이 이 형태이다
  bus 네트워크의 모든 단말이 하나의 케이블에 연결된 형태 폐쇄적인 환경의 보안시나리오에서 제한적으로 이용된다
  ring 네트워크의 모든 단말이 head-to-tail로 하나씩 연결된 형태
  mesh 네트워크의 모든 단말이 서로 연결된 형태
*흔히 WAN이 이 형태이다.

 

 

 

 

'CS > New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 Web : HTTP/HTTPs  (0) 2024.12.27
네트워크 : 3. 네트워크 프로토콜  (1) 2024.12.20
네트워크 : 2. 네트워크 모델  (0) 2024.12.18